로마서 4장 23-25절
23 그에게 의로 여겨졌다 기록된 것은 아브라함만 위한 것이 아니요 24 의로 여기심을 받을 우리도 위함이니 곧 예수 우리 주를 죽은 자 가운데서 살리신 이를 믿는 자니라 25 예수는 우리가 범죄한 것 때문에 내줌이 되고 또한 우리를 의롭다 하시기 위하여 살아나셨느니라
믿음을 견고히 하라 (로마서 4장 23-25절)
< 믿음을 견고히 하라 >
믿음에는 역사적인 믿음, 감정적인 믿음, 이적적인 믿음 등이 있다. 역사적인 믿음은 역사적인 사실을 통해 가진 믿음으로서 온전한 구원의 믿음이 아니다. 감정적인 믿음은 감정적인 자극에 따라 진리를 일시적으로 받아들이는 믿음으로서 역시 온전한 구원의 믿음이 아니다. 이적적인 믿음이란 이적이나 신비 체험을 통해 진리를 받아들이는 믿음으로서 그것도 참된 구원의 믿음이 아니다.
참된 구원의 믿음을 견고히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첫째, 하나님의 은혜를 많이 받으라. 믿음의 길은 쉽지 않은 고난의 길이기에 하나님의 은혜가 무엇보다 필요하다. 누가 은혜를 받는가? 주일성수는 기본이다. 예배하는 삶을 기본 바탕으로 윗사람에게는 순종하고 아랫사람에게는 은혜를 베풀 줄 알아야 한다. 위로는 드리고 옆으로는 나누고 아래로는 베푸는 ‘드나베의 삶’은 은혜의 문을 여는 핵심 열쇠와도 같다.
둘째, 즐겁게 교회 생활을 하라. 교회 생활은 믿음 생활의 핵심 바탕이다. 교회에서 전해지는 말씀을 통해 견고한 믿음을 가지는 것도 중요하고 교회 봉사를 통해 행동하는 믿음을 실천하는 것도 중요하다. 어떤 성도는 교회 생활을 즐겁게 하고 싶지만 상처도 많고 힘들다고 한다. 그러나 받기보다 줄 각오를 하고 권리 주장보다 책임 이행에 힘쓰고 불평보다 감사를 앞세우고 자랑보다 사랑을 앞세우면 즐거운 교회 생활이 그리 어렵지 않다.
셋째, 좋은 믿음의 동료를 많이 가지라. 가정에서도 믿음의 기둥을 하나 이상 굳게 세워야 행복의 가능성이 커진다. 친구도 믿는 친구를 사귀는 것이 좋다. 물론 믿는다고 하면서 교만하고 자랑하고 감사를 모르고 돈에 집착하고 제 몫만 챙기는 약은 사람도 있다. 그런 현실을 감안하고 분별력을 발휘해 좋은 성도를 옆에 두라. 믿음이 약해져도 좋은 믿음의 동료가 있으면 금방 일어설 수 있다.
넷째, 현재적인 믿음을 가지라. 히브리서 11장 1절에 이런 말씀이 있다. “믿음은 바라는 것들의 실상이요.” 믿음은 미래의 희망형인 ‘바라는 것’이 아니라 현재의 완성형인 ‘바라는 것들의 실상’이다. 즉 믿음은 ‘가질 것’이 아니라 ‘가진 것’이다. 예수님은 마가복음 11장 24절에서 말씀했다. “무엇이든지 기도하고 구하는 것은 받은 줄로 믿으라 그리하면 너희에게 그대로 되리라.” 그 말씀에서 예수님은 받을 줄로 믿으라고 하지 않고 받은 줄로 믿으라고 해야 그대로 된다고 하셨다.
<월새기(월간새벽기도)>를 처음 발행하면서 200페이지가 넘는 책 1권에 1,000원의 후원금을 받겠다고 결정할 때 사람들은 염려했지만 필자는 믿음으로 시작했다. 만약 재정 부족으로 발행이 중단되면 그것도 하나님의 뜻으로 받아들이겠다고 편하게 생각했다. 무모한 믿음처럼 보였지만 지금까지 <월새기> 사역이 잘 지속되고 있다.
물론 재정적인 위기도 있었다. 그러면 마음속에서 부정적인 생각이 생기기도 했다. 그때마다 간절히 하나님께 기도했다. “하나님! <월새기>를 통해 수많은 영혼이 구원을 얻고 힘과 위로를 얻으면서 삶과 가정과 교회가 변화되고 있습니다. 이 사역이 잘 지속되도록 도우소서.” 그러면 하나님이 보내 주신 ‘키다리 아저씨’의 은밀한 후원의 손길을 통해 기적적으로 재정적인 문제가 해결되었다.
사역 초창기에는 총본부장이 <월새기>의 전체 글을 집필하는 필자에게 사례비를 지출하지 못하는 것에 대해 늘 미안한 표정을 했다. 그 사례비까지 생각한다면 <월새기> 문서선교 사역의 재정적인 압박은 더 심했을 것이다. 감사하게도 필자에게 있는 좋은 교회와 좋은 동역자와 좋은 친구들로 인해 어려움이 없이 생활할 수 있었다. 하나님의 일에 전념하니까 하나님이 때를 따라 적절하게 개인적인 필요도 채워주신 것이다.
하나님의 일을 하면서 생활의 필요가 채워지는 문제에 너무 신경 쓰지 말고 비전 성취의 때에 대해서도 너무 신경 쓰지 말라. 하나님이 가장 적절하게 필요도 채워 주시고 또한 가정 적절한 때에 비전도 이루어 주실 것이다. 지금의 현실이 부족하고 답답하게 느껴져도 하나님의 선하심을 믿고 믿음의 행진을 계속하라. '언젠가는 되겠지.'라고 하면서 가만히 있지 말고 최선의 땀을 흘림으로 믿음의 열매가 현재형으로 나타나게 하라.
ⓒ 이한규목사 http://www.john316.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