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수기 4장 34-49절
34 모세와 아론과 회중의 지도자들이 고핫 자손들을 그 종족과 조상의 가문에 따라 계수하니 35 삼십 세부터 오십 세까지 회막에서 복무하고 봉사할 모든 자 36 곧 그 종족대로 계수된 자가 이천칠백오십 명이니 37 이는 모세와 아론이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명령하신 대로 회막에서 종사하는 고핫인의 모든 종족 중 계수된 자이니라 38 게르손 자손 중 그 종족과 조상의 가문을 따라 계수된 자는 39 삼십 세부터 오십 세까지 회막 봉사에 참여하여 일할 만한 모든 자라 40 그 종족과 조상의 가문을 따라 계수된 자는 이천육백삼십 명이니... 46 모세와 아론과 이스라엘 지휘관들이 레위인을 그 종족과 조상의 가문에 따라 다 계수하니 47 삼십 세부터 오십 세까지 회막 봉사와 메는 일에 참여하여 일할 만한 모든 자 48 곧 그 계수된 자는 팔천오백팔십 명이라 49 그들이 할 일과 짐을 메는 일을 따라 모세에게 계수되었으되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명령하신 대로 그들이 계수되었더라
복된 일꾼에게 필요한 것 (민수기 4장 34-49절)
< 복된 일꾼에게 필요한 것 >
모세와 아론과 회중의 지도자들은 30세부터 50세까지 회막에서 복무하고 봉사할 레위 자손을 계수했다. 그 숫자가 고핫 자손은 2,750명(36절), 게르손 자손은 2,630명(40절), 므라리 자손은 3,200명이었다(44절). 그들을 종족과 조상의 가문에 따라 계수했다는 말은 각 가문에 따라 세세하게 성막 봉사 직무를 효율적으로 맡겼다는 암시다. 그 총 수는 8,580명이었다(46-48절).
레위 자손은 두 가지 방법으로 계수되었다. 첫째, 생후 1개월 이상 된 남자들은 모두 계수되었다(민 3:15-39), 이 계수는 이스라엘 백성 중 처음 난 자를 대속하기 위한 목적의 계수였다. 둘째, 30세에서 50세까지의 남자들이 계수되었다. 이 계수는 실제로 성막 봉사를 맡기려는 목적의 계수였다.
게르손 자손은 1개월 이상 된 남자 7,500명(민 3:22) 중 30세부터 50세까지가 2,630명으로 35%였고, 고핫 자손은 1개월 이상 된 남자 8,600명(민 3:28) 중 30세부터 50세까지가 2,750명으로 32%였고, 므라리 자손은 1개월 이상 된 남자 6,200명(민 3:34) 중 30세부터 50세까지가 3,200명으로 52%였다. 결국 1개월 이상 된 레위인 남자 총 22,300명 중 30세부터 50세까지는 총 8,580명으로 38%였다. 레위인의 인구 조사와 관련된 본문 말씀이 주는 교훈으로서 복된 일꾼에게 필요한 덕이 무엇인가?
1. 성숙함
연약한 인생이 하나님의 일꾼이 되려면 무엇보다 필요한 것이 성숙함이다. 그래서 성막 봉사에 참여시킬 레위인 연령을 너무 젊거나 너무 늙지 않게 30세에서 50세까지로 제한시켰다. 군인으로 계수하는 20세보다 하한 연령을 10세나 높인 것은 하나님의 일꾼은 더 큰 능력과 자격과 성숙함을 갖춰야 한다는 뜻이다. 어떻게 성숙함이 측정되는가? 불신 세계에서는 윤리성과 도덕성으로 측정되지만 영적 세계에서는 말씀과의 친화성으로 측정된다. 말씀을 바르게 알고 아는 대로 실천하는 것이 성숙함의 원천이다.
2. 책임감
본문 35절에 언급된 ‘회막에서 복무하고 봉사할 모든 자’라는 표현을 보면 하나님은 교회 일꾼이 단순히 가볍게 봉사하기보다 군대 복무처럼 책임감 있게 봉사하기를 원하심을 알 수 있다. 맡은 직분을 잘 감당해서 복된 열매를 낳는 작품 인생을 살라. 준비성과 성실함과 책임감을 갖춰야 하나님의 일을 잘 감당할 수 있다. 나의 일이 성공적으로 되기보다 하나님의 역사가 왕성해지기를 원하는 것에 우선적인 관심을 둔 책임적인 삶을 통해 하나님의 뜻을 이루려고 해야 위대한 인물 리더가 된다.
3. 적극성
본문 39절과 47절에 언급된 ‘참여하여 일할 만한 모든 자’란 표현을 보면 하나님은 레위인들이 하나님의 일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일하길 원하셨다. 소극적으로 주어진 일만 하지 말고 적극적으로 좋은 일에 참여하라. 모든 일에 다 참여하라는 말이 아니다. 자기 한계와 주제를 모르고 모든 일에 다 참여하면 모든 일이 부실해진다. 다만 하나님이 사명으로 맡겨 주신 일에는 적극적으로 참여하라. 믿음은 적극적인 참여를 낳는다.
4. 신실함
레위인들은 할 일과 짐을 메는 일을 따라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명령하신 대로 계수되었다(49절). 그들은 성막이 머물러 있을 때는 제사장 업무를 도와 봉사했고 이동할 때는 각자 맡은 성막의 짐을 운반했다. 영적인 레위인인 성도도 교회의 안정기에는 교회 봉사자로서 참여하고 교회의 변혁기에는 교회의 짐을 지는 자로서 참여해야 한다. 그처럼 환경이나 상황 변화에 상관없이 변함없는 신실함을 보이라. 신앙심은 신실함을 낳아야 한다. 하나님을 믿는 믿음이 진실함을 증명하려면 사람에게도 믿음을 주는 모습을 갖추라.
ⓒ 이한규목사 http://www.john316.or.kr